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빨이 시릴때 그 원인과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빨이 시린 원인으로는 크게 구강 질환 또는 외상으로 인한 것 또는 노화로 인한 이시림 증상을 가속화시키는 여러 가지 습관들, 이런 식으로 크게 나눠서 꼼꼼하게 따져볼 수가 있는데요. 충치나 잇몸병과 같은 구강 질환이 계속 진행을 하게 되었을 때 상아질에 있는 상아 세관을 통해 신경에 자극이 닿거나 또는 외상 즉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서 치아에 금이 가거나 부러지는 등 안쪽 치수 신경에 직접 자극이 닿을 만한 손상이 일어난다면 아무래도 이빨이 시릴때 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빨이 시릴때 는 그 원인에 맞는 처치를 해주시면 되는데 여기서 충치 치료 후 또는 스케일링 처치 후에 치아가 시리다고 호소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그래서 혹시나 치과 진료가 어디 잘못된 건 아닌지 문의를 주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결론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잘못됐다기 보다는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물리적으로 받을 수 있는 자극, 즉 찬물이라던가 바람 때문에 이시림 증상이 생길 수 있고 또는 와동형성 과정에 있어서 신경과 밀접하게 닿아 있을 정도로 충치가 심했다면 그로 인해서 충격을 받게 되어 이가 시릴 수 있는 등 치료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자극에 의해서 이빨이 시릴때 가 있을 수 있는 거예요.
그러나 그것은 그야말로 일시적인 것이라서 계속해서 지속이 되거나 하지는 않으며 이 대 치과에서 처방해 주신 진통제가 있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예요. 만약 시간이 지나 점점 더 통증이 깊어지게 되고 범위도 넓어지고 한다면 이것은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받은 자극으로 인한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뭔가 이차적인 감염이 일어났구나 하는 등으로 다른 원인을 생각해 봐야 할 것이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치과로 내원을 하셔서 원인을 분명하게 살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케일링 처치를 받은 후에 치아 사이가 비어 보이거나 길어 보인다 또는 잇몸이 내려가 보인다고 느끼실 수 있는데 이것은 스케일링 처치 때문에 잇몸에 손상이 일어난 것이 아니에요, 스케일링 자체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으로 애초에 그 물리적인 강도가 치아나 잇몸에 크게 무리를 줄 수 있는 정도가 아니기 때문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느껴지시는 것은 치석이 너무 쌓여있다가 이번에 그것이 한꺼번에 사라지자 치석으로 내려갔던 잇몸 때문에 드러난 이뿌리가 생소하게 느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로 인해 이시린 증상을 느끼실 때는 그 정도에 따라 진료를 받아주실 필요가 있어요. 예를 들어 드러난 부위에 약을 도포를 하거나 레진으로 때워주기도 하고 정말로 정도가 많이 심각할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서 잇몸을 재건해주는 방법 등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충치 치료 후에도 일시적인 충격에 의한 것 또는 충전재 등이 금속이다 하면 냉온 자극에 민감할 수 있는 부분이 생길 수는 있지만 만약에 적응을 하면서 점차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쑤시고 이빨이 시릴때 가 잦아진다라고 한다면 그것은 다른 원인 때문일 수가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맞는 처치를 해주셔야 하며 다시 내원을 하셔서 원인부터 꼼꼼하게 검진을 받아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치경부 마모증이라고 해서 잇몸과 치아 사이에 들어가 있는 부분이 점점 마모가 일어나도 이뿌리의 상아질 부분이 드러나서 이빨이 시릴때 가 있을 수 있는데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처치 뿐 아니라 마모증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는 잘못된 칫솔질이나 또는 강한 저작력을 주어 잇몸과 치아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습관 (질긴 음식을 즐겨 먹는 식습관 등) 을 개선해 주셔서 냉온 자극에 민감함으로 인한 이시림 증상 때문에 더 이상 고생하지 않으시길 바라고 있는데요. 특히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하지 말고 무심하게 넘어갈 수 있는 부분을 제 때 치료를 받아서 심각하게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하실 필요가 있어요.